가화만사성

When One’s Home is Happy, All Goes Well

interactive installation, 2 computers, 2 kinect sensor, 4 speakers, 5 factory lights, 6 stage lights, cement block wall, cement bench press, military frame, military ashtray, school desk, school chair, broom, old TV, tv table, crystal ashtray, cabinet inlaid with mother-of-pearl, korean folding screen, metal fence, sidewalk block, rubber basin, glass bottle, korean ridgepole, timber, line tape, aluminum door, various dimension, 2022.

Art Spectrum 2022, Leeum museum, Seoul, Mar~Jul 2022.

When One’s Home is Happy, All Goes Well is an installation with attributes of a theatrical performance that invites the audience to a meticulously staged event. Household objects and props are scattered inside the installation, conjuring a 1980s Korean home, especially associated with the ideological conflicts, military dictatorship, and modernization process of South Korea as a developing country. According to each viewer’s movement, the particular words, phrases, sounds, and lighting inside the installation produce different hints and meanings.

Seemingly mundane objects, like shards of glass embedded in the cement wall at the entrance, carry a stark sense of violence—subtle yet wounding. They evoke the heavy atmosphere of a time when the weight of societal turmoil seeped even into the most intimate unit of society: the family. The grave atmosphere, contrasting with the title When One’s Home is Happy, All Goes Well, implies that the modernization process continues to affect society’s psyche. It stages a theater in which the audience members are exposed to sound and object components that they digest in their own ways to discover an unfamiliar world.

… …

#2
There are memories that one cannot relinquish because their traces have become part of oneself. Only when s/he realizes that the memories remain as traumas, then s/he also realizes that they have been forced into self-deception and a paradox of the times disguised as a mask of familiarity. The society in transition provided such an uncomfortable truth or dilemma for those who were experiencing it. Contradictory situations which appeared inevitable, but were not, would suddenly emerge.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1980s was such a period. Amid the frenzy of democratization spreading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South Korean society gradually changed, and both light and darkness coexisted in the growing economy. The clashes between the progressives and the authority trying to control them have been regarded as a natural social phenomenon. Therefore, we had to face our own comfort and absurdity; we were left wounded and abandoned. Calluses grew on the wounds after some time, but much later this period was characterized as inevitable growing pains. We had internalized the memories without being able to specify a perpetrator. Time fades the colors of everything. Sometimes, even a  dark and bloody wound turns into a scratch barely 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 skin. However, there are also fragments of memories that defy time. They emerge suddenly at unexpected moments, and the impact is so strong that their power to adapt surpasses that of the newest media. The process of recalling memories cannot be orderly or refined. The sparse spacing and arrangement of the objects in PARK Seong Jun’s installation somehow resemble our memories. … …

Unfamiliar objects and possible worlds 
: excerpt from a critical essay by Wonjoon Yoo 

<가화만사성>은 매우 치밀하게 기획한 ‘사건’의 현장으로 관객들을 초대하는 연극적 퍼포먼스의 속성을 지닌다. 전시공간 내부에 흩어진 텔레비전이나 자개장 같은 가재도구와 운동기구와 대야 같은 소품들은 1980년대 한국의 가정집을 연상시키는데, 여기에는 이념 갈등과 군부 독재의 잔여물이나 개발도상국으로서 근대화의 과정을 상기시키는 요소들이 담겨있으며, 관객의 움직임에 따라 특정 단어와 문구 그리고 효과음과 조명이 연출되어 혼란스러운 경험을 안긴다.

공간 입구의 시멘트벽 꼭대기에 꽂은 사금파리처럼 일상적인 물건들은 상처를 불러오는 선명한 폭력성을 담고 있으며,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정에까지 스며든 시대의 무거운 분위기를 보여준다.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된다는 의미의 제목과 대조되는 어두운 공간은, 우리의 정신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감정적 영향으로서 근대화의 충격을 드러낸다. 관객들은 작가가 제시한 공간 및 사운드의 환경적 요소를 저마다의 방식으로 체험하여 낯선 세계를 발견하게 된다.

 … …

#2
이미 지나가 버렸음에도 그 흔적 탓에 자신의 일부라 인식되어 끝내 놓지 못하는 기억이 있다. 그러다 급기야 그것이 트라우마로 잔존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나서야 그것이 결국 강요된 자기기만이며 친숙함이라는 가면으로 가장된 시대의 역설임을 깨닫게 된다. 과도기의 사회는 해당 사회를 경험하는 이들에게 이렇듯 불편한 진실 혹은 딜레마를 제공하였다. 필연의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사실 꼭 그렇지는 않은 모순적 상황들이 불쑥불쑥 튀어나왔다. 국내의 경우, 1980년대 즈음이 그러한 시기였다. 군부 독재와 맞선 민주화의 열풍 속 사회는 점진적으로 변화를 맞이하였고 성장하는 경제 안에서 빛과 어두움은 공존했다. 진보를 열망하는 이들과 그것을 통제하려는 힘의 충돌은 지극히 당연한 사회 현상으로 갈무리 되었으며 이러한 간격에서 우리는 자신의 안위와 부조리함을 마주하며 상처받고 방치되었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 그 상처에는 굳은살이 돋아났지만, 어느새 그것은 가해자를 특정할 수 없는 그저 내 안의 흔적과 성장통이라는 시대의 필연으로 포장된 이후였다. 시간은 모든 것의 색채를 옅어지게 한다. 때로는 그것이 아주 진한 핏빛 상처였더라도 어느새 본래의 살갗과 조금 결이 다른 정도의 생채기로 남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절대적 시간을 거스르게 만드는 기억의 파편들이 있다. 이들은 예기치 못한 순간에 불쑥 등장하지만, 그 효과는 매우 강력해서 최신의 매체를 상회하는 복원력을 가지기도 한다. 기억의 소환 과정이 가지런하게 정련될 수 없음을 상기해보면 작품 속 성긴 오브제들의 간격과 배치는 어쩐지 우리의 기억과 닮아있다. … …

낯선 대상과 가능한 세계들 _ 비평문(유원준)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