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ver believe the new settlers,
never reveal the innermost to the native
video installation, 1 jeju Basalt(stone), 1 television, 1 bed, 1 dresser, 1 table, 3 chairs, 2 lights, 1 mirror, 1 curtain, etc., various dimension, 2018
Jeju arts pair ‘Artist and Yeogwan’ project, Dae-Dong Hotel, Jeju, Otc~Nov 2018.
This work metaphorically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Jeju island locals and outsiders as a woman left behind in a hotel room and a man from the mainland. In the piece, the Jeju woman remains silent and motionless like a stone, while the man continuously pours out commonplace stories that countless men may have told her. Yet, all that returns to him is silence. Eventually, this Drama concludes with the arrival of police officers to crack down on prostitution.
The space of an island naturally induces various mental and physical conflicts as simple internal structures collide with abruptly incoming complex external elements. This work, through dramatic devices, represents the situation of Jeju, where opposing elements such as immigrants and natives, nature and development, Koreans and foreigners, mainland culture and Jeju (maritime) culture, ideals and realities coexist, thereby evoking the viewers’ conflicts of desire and anxiety.
이 작품은 제주사람들과 외지인들의 관계를 호텔 방에 남은 여인과 뭍에서 온 남자로 비유한다. 작품에서 제주의 여인은 아무런 말도 없고 미동도 없는 돌이며 남자는 계속해서 여인을 향해 흔하디 흔한 말들 수많은 남자들이 남겼을 법한 이야기를 쏟아낸다. 그러나 그에게 돌아 오는 건 침묵 뿐이다. 결국 성매매 단속 경찰들이 들이닥치며 이 드라마는 마무리된다.
섬이라는 공간은 자연스레 형성된 단순한 내부구조와 갑작스레 밀려 들어온 외부요소들이 만나면서 점차 다양한 정신적 물리적 갈등을 야기하는데 이 작업은 이주민과 원주민, 자연과 개발, 한국인과 외국인, 육지문화와 제주문화, 이상과 현실 등의 대립된 요소가 공존하는 제주의 상황을 극적장치를 통해 재현-표현(representation)함으로써 인간이 갖는 욕망과 불안의 갈등을 관람자에게 환기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