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series
Perception (Espace Et Temps) I series of 8 photos, 16×45 cm every image, inkjet print, 2010
Perception (Espace Et Temps) II 46.4x400cm. (ø127 cm.), panorama photo 360°, inkjet print, 2010
Perception (Espace Et Temps) III 3-Channel video installation, in a continuous loop, 2011
PERCEPTION (ESPACE ET TEMPS) IV video installation, 16/9 HD, color, sound, in a continuous loop, 2011
PERCEPTION (ESPACE ET TEMPS) V performance, 1 camera, 1 monitor, 1 screen, various dimension, 2012
PERCEPTION (ESPACE ET TEMPS) VI interactive installation, 1 kinect sensor, 1 camera, 1 monitor, 1 screen, various dimension, 2012
Humans can never fully detach from the world of ideas, and yet, we are beings who simultaneously share the world of reality. When we consider how our ideas are formed, it becomes clear that we perceive the world through experiences and learning shaped by our environments. These perception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our internal conceptual frameworks.
This world of human ideas serves as both the subject and the structural foundation of my video works. In other words, creating videos becomes a way to journey through the realm of ideas. But then, what is the nature of video for us?
Throughout human history, as technology has evolved, media have continuously been invented and transformed in various forms. Among them, the video medium has become one of the most familiar to contemporary life. Generations who have grown up with video may not be able to explain its structural or semiotic systems how videos are made or why certain causal relationships occur within them yet they intuitively understand and interpret its complex language.
For instance, even without formal video analysis, people can often grasp the narrative structure, unfolding plot, and even the ending of a film or television drama simply by watching a few scenes or sequences.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a kind of pre-existing conceptual system, shaped through repeated exposure to video, now governs our perception.
Moreover, despite being hypothetical simulations, the stories presented through video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our lives and perception, due to the medium’s inherent characteristics. Under such influence, our perceptions acquire deeply cultural perspectives, which are reinforced and reproduced through habitual behavior in our daily lives. Video-based learning not only reshapes our lives, but also introduces dissonance and confusion in our perception of reality disrupting our experience of time and space, and ultimately dominating our conceptual understanding. As video becomes more embedded in everyday life, we are inevitably caught between learned concepts and the reality we inhabit, resulting in a constant sense of disorientation and fragmentation.
This experience of confusion and fragmentation is central to my work. Through my intentionally constructed video and installation pieces, I aim to reconstruct and intensify this sense of rupture, encouraging viewers to become consciously aware of these conceptual spaces. Simultaneously, I pose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the nature of our ideas?
In doing so, I seek to deconstruct and reassemble the visual language of film its sequences of time and space, narrative development (montage), and symbolic codes of representation (mise en scène) to present a new artistic form that reflects on the medium itself.
인간은 관념의 세계를 떠날 수 없으며, 동시에 실재계를 공유하는 존재이다. 우리에게 관념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생각할 때, 인간은 자신의 환경 속에서 만들어지는 경험과 학습에 의해 세상을 지각하고, 그 내용들은 관념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인간의 관념의 세계는 나의 영상 작업을 창작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인 대상이자 틀로써 작용한다. 즉, 영상을 통해 관념의 세계를 여행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영상이란 우리에게 어떠한 존재인가?
인류의 기술(Technologie)과 함께 매체(Medium)들은 다양한 모습으로 창조되고 발전해 왔다. 그중에서도 영상 매체는 현대를 살아가는 인류에게 가장 친숙한 매체 중 하나이다. 영상과 함께 자란 세대들은 영상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떤 이유로 영상 속에서 인과관계가 발생하는지 등의 구조적이고 기호적인 체계를 정확히 설명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영상의 언어를 이해하고 감상한다.
예컨대, 그들은 정확한 영상 분석 없이도 영화나 TV 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와 전개 상황, 심지어 결말까지도 그 영화나 드라마 속 컷이나 장면 시퀀스를 통해 추측하거나 알아맞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수많은 영상 경험을 통해 학습된 일종의 체계가 선개념으로 작용하며 우리의 지각을 조종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상이 보여주는 이야기들은 가설을 기반으로 한 일종의 시뮬레이션임에도 불구하고, 매체적 특성으로 인해 인간의 삶과 지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권 속에서 형성된 우리의 지각은 다분히 문화적인 관점을 지니며, 그 관점은 우리의 삶 속에서 습관을 통해 다시 재현되기도 한다. 이처럼 영상이 주는 학습은 우리의 삶을 조정하고, 실재계 속에서 지각의 혼란과 괴리를 만들어낼 뿐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혼재를 가져오며 우리의 관념을 지배한다. 다시 말해, 영상이라는 매체가 우리 삶에 친숙해지면서, 우리는 학습된 관념과 실재계 사이에서 혼란과 괴리를 경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혼란과 괴리의 경험은 나의 작업의 연장선상에 있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나의 영상 및 설치 작업은 혼란과 괴리의 공간을 재현하고 극대화함으로써, 감상자가 그 공간을 스스로 인식하게 만들고자 하며, 동시에 ‘우리에게 관념이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따라서 나는 작업 속에서 영상 매체가 가진 시간과 공간의 시퀀스, 스토리 전개 방식(montage), 상징적 코드의 재현(mise en scène) 등 영상 언어를 해체하고 조합하여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보여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