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V

perception (espace et temps) V

performance, 1 camera, 1 monitor, 1 screen, various dimension, 2012

CENC (centre d’expresion numerique et corporelle), l’usine kugler, Geneva, Mar 17th 2012.

The performer responds to the movements of their own image on the screen as if facing a mirror.
Beyond the screen, however, the image of the audience—which might be expected to appear—remains absent.
In truth, the performer is reenacting a pre-recorded video of themselves, a composition formed through multiple repetitions.
Even as viewers recognize this as a simulation, they experience intermittent and recurring perceptual confusion as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between themselves and the performer begin to blur.

Through the sensations of fragmentation and disorientation evoked by the video medium, this performance momentarily transforms the viewer’s real-world space into a field of estrangement.
The performer struggles to identify with their fragmented image beyond the screen.
Meanwhile, the viewer empathizes with this gesture and comes to project themselves onto it.

Yet this relational configuration remains confined to the Imaginary—it never fully enters the realm of the Real.
Upon crossing into the Symbolic, the fragile identification collapses, and the impossibility of actual connection is revealed.
In that moment of rupture, the viewer, like the performer before them, becomes lost at the threshold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퍼포머는 스크린 속 자신의 이미지 움직임에 따라 마치 거울처럼 반응한다. 그리고 스크린 너머, 마땅히 존재해야 할 것처럼 여겨지는 관람객의 이미지는 부재한다. 사실 이 퍼포머는 미리 촬영된 자신의 영상 이미지를 연기한 것으로, 수차례의 반복을 통해 구성된 것이다. 관객은 이것이 하나의 시뮬레이션임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퍼포머와 자신의 시공간이 뒤섞이는 경험 속에서 반복적이고 간헐적인 지각의 혼란을 겪는다. 영상 매체가 불러오는 분열과 착란의 감각을 통해, 이 퍼포먼스는 관람자의 현실 공간을 일시적인 괴리의 장으로 전환시킨다. 퍼포머는 스크린 너머 분열된 자신의 이미지와 분투한다. 그러는 사이, 관람자는 그 몸짓에 감정이입하며 스스로를 투영하게 된다. 그러나 이 관계 설정은 상상계에 머물 뿐, 결코 실재로 이어지지 않는다. 상징계로 진입하는 순간, 애써 지탱하던 동일시는 무너지고, 관계의 실현 불가능성을 깨닫게 된다. 그 불일치의 순간, 관람자는 퍼포머가 그랬듯 실재와 상상의 경계에서 길을 잃고 헤매게 된다.